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7

바퀴 달린 컴퓨터 (전기차에 쓰이는 반도체) 전기차(EV)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는 동력원(엔진 → 배터리와 모터)의 변화 뿐 아니라, 제어 방식이 완전히 전자화되었다는 점입니다. 즉, 전기차는 더 이상 기계들의 시스템이 아니라, 수많은 전자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바퀴 달린 컴퓨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의 심장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반도체 칩입니다.전기차에는 내연기관 차량보다 2~5배 더 많은 반도체가 들어가며, 이 칩들이 모터, 배터리, 센서, 디스플레이, 통신, 자율주행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차에 꼭 필요한 반도체의 종류와 역할, 기술적 특징, 주요 기업, 공급망 이슈, 그리고 미래 전망까지 깊이 있게 정리해드립니다.1. 왜 전기차에 반도체가 더 많이 필요할까?내연기관 차량에는 평균 200~300.. 2025. 4. 11.
노면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승차감을 조절한다 (액티브 서스펜션,Active Suspension) 1. 개요자동차의 승차감과 핸들링 성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서스펜션 시스템입니다. 특히 고급 차량이나 스포츠카에서는 단순히 충격을 흡수하는 수준을 넘어서, 실시간으로 노면 상태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반응하는 ‘액티브 서스펜션(Active Suspension)’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액티브 서스펜션이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장점과 단점을 가지는지, 그리고 실제 차량에 어떤 식으로 적용되는지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2. 서스펜션이란 무엇인가?서스펜션(Suspension)은 차체와 바퀴 사이를 연결해주는 장치로, 도로의 요철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적인 서스펜션 시스템은 스프링, 쇼크업소버, 링크 등의 부품으로 구성.. 2025. 4. 10.
성능 과 연비효율이 뛰어난 DCT(듀얼클러치변속기) 1. 개요자동차를 선택할 때 자동 변속기가 운전하기는 편리 하나, 연비측면에서는 수동변속기가 더 유리하다. 따라서 차량선택시 중요한 요소가 바로 변속기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자동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선택의 의미가 없지만, 연비측면에서 아쉬운점이 있는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최근 들어 고성능과 연비 효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DCT(Dual Clutch Transmission, 듀얼클러치변속기)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DCT는 스포츠카뿐 아니라 일반 승용차와 전기차에도 적용될 만큼 대중화되고 있으며, 빠른 변속 속도와 뛰어난 연비, 현실감 있는 주행으로 많은 운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CT의 작동 원리부터 장단점, 그리고 어떤 차량에 사용되는지까지 자세히 살펴봅니다.2.. 2025. 4. 10.
전기차의 MCU(Motor Control Unit), 핵심 제어장치의 모든 것 전기자동차(EV)의 구동 시스템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가장 핵심적인 장치가 바로 MCU(Motor Control Unit)입니다. MCU는 전기차가 주행과정을 전반적으로 관여 하면서 부드럽게 출발하고 가속하며 제동하는 과정 전체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장치로, 전기모터의 두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차의 MCU에 대해 원리부터 구성, 역할, 최신 기술 동향까지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MCU란 무엇인가?MCU는 "Motor Control Unit"의 약자로, 전기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전자제어 장치입니다. 일반 자동차에서 ECU(Engine Control Unit)가 엔진을 제어하듯, 전기차에서는 MCU가 전기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고 관리합니다.MCU의 주요 구.. 2025. 4. 9.
주행상황에 따라 변하는 자동차 (하이브리드차는 주행조건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차량으로, 운전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동됩니다. 정차, 저속 주행, 가속, 고속 주행, 제동 등 주행 조건에 따라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연비 효율을 극대화하고, 배출가스를 줄이는 것이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주행 조건에 따라 어떻게 작동하는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정차 및 저속 주행 시: 전기모터 중심 작동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시동 직후나 주행 시작 시, 즉 정차 상태 또는 저속 구간에서 전기모터(EV 모드) 중심의 주행을 진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내연기관이 작동하지 않으며, 차량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로만 구동이 이루어집니다. 도심 주행과 같은 저속 상황에서는 이 기능이 특히 빛을.. 2025. 4. 8.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장점을 모두 가진차를 아시나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친환경차의 중간 단계로 불리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장점을 모두 가진 차량입니다. 전기만으로 일정 거리 주행이 가능하면서, 배터리가 소진되면 가솔린 엔진이 자동으로 개입되어 주행을 이어갈 수 있죠. 이 글에서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의 정의와 구조, 장단점, 전기차와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란?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는 외부 전원(플러그)을 통해 충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의미합니다. 일반 하이브리드 차량은 자체 발전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지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전기차처럼 전기를 직접 충전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차량은 전.. 2025.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