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지털 키(Digital Key) 기술과 보안 이슈 (디지털키, 스마트폰키, 차량보안)

by 동글둥글 함께 가봐요 2025. 5. 3.

스마트폰 하나로 자동차 문을 열고, 시동을 걸며, 다른 사람과 키를 공유하는 시대.
**디지털 키(Digital Key)**는 이제 단순한 옵션이 아니라, 자동차의 기본 사양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디지털 키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물리적 키를 완전히 대체할 수준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 키의 작동 원리, 장점과 단점, 실제 적용 사례와 함께
가장 중요한 보안 이슈와 사용자 주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안내드립니다.


디지털 키란? 스마트폰이 자동차 키가 되는 기술

디지털 키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통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기술입니다.
물리적인 키 없이도 차량의 잠금/해제, 시동, 트렁크 열기, 사용자 설정 불러오기 등이 가능하며,
가족, 친구 등과의 키 공유 기능까지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작동 방식 (기술별)

  1. NFC (근거리 무선통신)
    • 스마트폰을 문 손잡이에 가져다 대면 문 열림
    • 시동 버튼 근처에 올려놓으면 시동 가능
  2. BLE (블루투스 저전력)
    • 스마트폰이 근처에 있으면 자동 잠금/해제
    • 시동도 스마트폰 감지 후 가능
  3. UWB (초광대역 무선통신)
    • 스마트폰의 위치를 cm 단위로 정밀 인식
    • 리레이 공격 방지에 효과적
  4. 클라우드 기반 인증
    • 원격 제어, 디지털 키 공유, 기간 제한 설정 가능
    • OTA 업데이트로 기능 추가 가능

디지털 키의 장점과 활용실태

디지털 키는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서, 차량 제어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핵심 UX 기술입니다.

✅ 장점

  • 물리적 키 불필요 → 분실 우려 없음
  • 원격 제어 가능 → 트렁크 열기, 시동 등 원격 지원
  • 공유 기능 → 가족, 친구에게 앱으로 임시 키 발급
  • 차량 설정 자동 연동 → 좌석 위치, 미러, 음악, 온도 설정 등

✅ 활용 예시

  • 현대·기아 디지털 키 2세대
    • NFC + BLE + UWB 지원
    • 스마트폰 근처 접근만으로 문 열림 가능
    • 삼성 갤럭시·애플 아이폰 모두 지원
  • BMW 디지털 키
    • 애플 카키(CarKey)와 연동
    • iPhone·애플워치로 차량 잠금/해제 및 시동 가능
    • 키 공유 시 ‘운전 속도 제한’ 설정 가능
  • 테슬라 앱 키
    • BLE 기반으로 차량 근처 접근 시 자동 인식
    • 앱에서 충전량, 실내 온도, 차량 위치 실시간 확인

디지털 키의 보안 이슈 – 리스크와 대응 방안

  •  

디지털 키의 보안 이슈 – 리스크와 대응 방안

디지털 키는 편리하지만, 보안에 취약하면 오히려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차량 해킹, 리모트 제어 권한 탈취 등의 이슈가 실제로 보고되고 있어, 보안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 기술 과제입니다.

❌ 주요 보안 이슈

  1. 리플레이/리레이 공격 (Relay Attack)
    • BLE 기반 키의 신호를 중계해 차량을 열고 도난
    • 스마트폰이 근처에 없어도 신호를 ‘속여서’ 문을 염
  2. 스마트폰 해킹 시 키 탈취
    • 스마트폰 루팅, 악성 앱 설치로 인증 정보 유출 가능
  3. 무단 키 공유·오용
    • 가족 외 지인에게 공유한 키가 유출될 위험
  4. OTA 해킹
    • 무선 업데이트 취약점으로 차량 시스템 제어 가능성

보안을 위한 기술적 대응책

다행히도, 디지털 키는 단순한 편의 기능이 아닌 만큼, 글로벌 표준화와 강력한 보안 기술 적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 기술적 대응

  • UWB 채택 확대: 정밀 위치 파악 → 리레이 공격 방지
  • TPM(신뢰 플랫폼 모듈): 차량 단말기 내 암호화 인증칩 내장
  • SE(Secure Element): 스마트폰 내 인증 정보 별도 보안 공간 저장
  • ISO/SAE 21434 인증: 차량 사이버보안 국제 기준 도입
  • 디지털 키 공유 시 권한 설정 기능: 시간·주행거리 제한 가능

✅ 사용자 주의사항

  • 공식 앱만 사용하고, 루팅·탈옥 금지
  • 앱 알림과 이력 수시 확인
  • 스마트폰 분실 시 차량 제조사 고객센터로 즉시 차단 요청
  • 공공 와이파이 사용 자제

결론: 디지털 키는 ‘편의’와 ‘보안’의 균형 위에 있다

디지털 키는 자동차의 미래 사용자 경험을 이끄는 핵심 기술입니다.
하지만 편의성만 강조한 나머지 보안의 허점을 놓친다면, 오히려 해커에게 차량을 통째로 내어주는 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디지털 키는 단순한 옵션이 아닌,
모든 차량의 기본 UX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만큼 사용자도 보안 의식을 함께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제조사는 강력한 보안 아키텍처와 사용자 중심 기능 개선을 통해 신뢰를 확보해야 할 것입니다.